반응형
리눅스에서 history 명령어를 삭제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.
1. 현재 세션의 history 삭제
bash
history -c
이 명령어는 현재 터미널 세션의 명령 기록을 지운다. 하지만 로그아웃 후 다시 로그인하면 기존의 ~/.bash_history 파일에 저장된 명령어가 남아 있을 수 있다.
2. history 파일까지 삭제
bash
cat /dev/null > ~/.bash_history
또는
bash
> ~/.bash_history
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~/.bash_history 파일의 내용을 비운다.
3. history 삭제 후 즉시 적용
bash
history -c && history -w
- history -c: 현재 세션의 기록 삭제
- history -w: 변경 사항을 ~/.bash_history에 즉시 적용
4. 로그아웃 시 자동으로 history 삭제
만약 로그아웃할 때 자동으로 history를 삭제하고 싶다면, ~/.bash_logout 파일에 다음 내용을 추가하면 된다.
bash
> ~/.bash_history
history -c
5. 특정 명령어만 삭제
bash
history -d <라인 번호>
예를 들어, history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특정 명령어가 100번 라인에 있다면:
bash
history -d 100
history -w
이렇게 하면 해당 명령어만 삭제할 수 있다.
필요한 방법을 골라서 사용하면 된다.
반응형
'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shared memory 정리하는 법 (0) | 2025.04.17 |
---|---|
[Linux] Oracle Shared memory 사용률 확인 (0) | 2025.04.17 |
[Window] 윈도우 이벤트 로그 확인 법 (0) | 2025.03.24 |
[Linux] apach-tomcat 사설 SSL 인증서를 공인인증서처럼 설정하는 방법 (0) | 2025.03.21 |
[Linux] Web-Was 환경 ACL 설정법 (0) | 2025.03.21 |